국제이슈

사이버 테러? 자연재해? 원인불명 정전에 이베리아 반도 '패닉'

 이베리아 반도 전역을 뒤덮은 대규모 정전 사태로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약 5,850만 명이 극심한 혼란에 빠졌다. 28일(현지시간) 오후 12시 30분(한국시간 오후 7시 30분)부터 시작된 이번 정전은 양국의 주요 도시와 지방 지역을 모두 암흑 속으로 몰아넣었다.

 

포르투갈 전력망 운영사 REN에 따르면, 스페인에서 4,800만 명, 포르투갈에서 1,050만 명이 전력 공급 중단으로 피해를 입었다. 이는 두 나라 전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치로, 현대 유럽에서 보기 드문 광범위한 정전 사태다.

 

스페인 내무부는 즉각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총력 대응에 나섰지만, 정전 발생 11시간이 지난 시점까지도 국토의 약 절반에만 전력 공급이 복구된 상태다. 당국은 나머지 지역에 대해서는 29일까지 전력을 완전히 복구한다는 방침을 세웠지만, 복구 작업이 예상보다 지연되면서 시민들의 불안과 불편은 가중되고 있다.

 

특히 우려스러운 점은 정전 원인이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는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전국의 복합 사이클과 수력 발전소도 재가동돼 스페인 전역의 공급량을 곧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원인에 대한 결정적인 정보는 없다"고 인정했다. 이로 인해 사이버 공격이나 테러 가능성 등 다양한 추측이 나오고 있다.

 


정전의 여파는 교통과 통신 시스템 전반으로 확산됐다. 유럽 항공 교통기관인 유로컨트롤에 따르면,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리스본을 오가는 항공편 운항이 전면 중단됐다. 공항 내 항공 관제 시스템과 보안 검색대, 체크인 카운터 등이 작동을 멈추면서 수만 명의 승객들이 공항에 발이 묶였다.

 

도시 내 지하철과 전철도 운행이 중단되었고, 신호등이 작동하지 않아 주요 도로에서는 교통 혼잡이 극심해졌다. 병원과 같은 필수 시설에서는 비상 발전기를 가동하고 있지만, 장기간 정전이 지속될 경우 의료 서비스에도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상점과 슈퍼마켓에서는 냉장·냉동 식품의 변질을 막기 위한 긴급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민들은 생수와 비상식량, 배터리 등을 구매하기 위해 장시간 줄을 서는 모습이 목격됐다. 일부 지역에서는 약탈 사건도 보고되었다.

 

양국 정부는 정전 원인 규명과 전력 복구에 모든 자원을 투입하고 있으며, 유럽연합 차원의 지원도 요청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전력망 시스템의 취약성이 드러난 이번 사태를 계기로 유럽 전역의 전력 인프라 안정성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