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이슈
미국이 우크라이나·러시아에 들이댄 '최후통첩'의 실체

AFP통신에 따르면 인도 방문 중인 밴스 부통령은 23일 취재진과의 만남에서 "미국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에 명확한 제안을 했으며, 이제는 그들이 이를 받아들일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렇지 않다면 미국은 이 문제에서 손을 떼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밴스 부통령은 특히 "현재 상황과 비슷한 수준에서 영토 경계선을 동결하는 마지막 단계를 취해야 할 시점"이라고 언급하며, 사실상 현재의 전선을 기준으로 한 휴전을 제안했다. 이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양측이 현재 소유권을 주장하는 영토의 일부를 포기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부연 설명했다.
이러한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캠페인 기간 동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24시간 이내에 종식시킬 수 있다"고 공언했던 것과 맞닿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러시아와의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섰지만, 현재까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한 상황이다.

국제 정치 전문가들은 밴스 부통령의 이번 발언이 미국의 중재 노력에 시간제한을 두며 양측에 결단을 촉구하는 전략적 압박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현 상황과 비슷한 수준에서 영토 경계선을 동결"하자는 제안은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영토 일부를 사실상 인정하는 방안을 포함하고 있어, 우크라이나 측의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한편, 우크라이나 정부는 자국 영토 보전의 원칙을 강조하며 러시아군의 완전 철수를 요구해 왔다. 러시아 역시 점령지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며 양보 없는 태도를 보이고 있어, 미국의 중재안이 양측 모두에게 수용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번 밴스 부통령의 발언은 미국이 장기화되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무제한적 지원을 계속하지 않을 수 있다는 신호로도 해석되며, 향후 미국의 대외 정책 방향에 중요한 변화를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국제 사회는 트럼프 행정부가 어떤 구체적인 중재안을 제시했는지, 그리고 양측의 반응이 어떨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