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초이스

심야 조사 감수? 윤석열, '숨겨진 진실' 드러날까 두려워 '은밀한 출석' 고집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이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대해 지하주차장을 통한 비공개 출석을 거듭 요청하며 특검과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특검은 이를 수용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며 양측 간의 대립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은 26일, 특검의 심야 조사까지 감수하고 진술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겠다는 적극적인 수사 협조 의지를 피력했다. 이들은 "지하주차장을 통한 비공개 출석 외에는 아무런 요구가 없다"며, 이 정도의 요청이 수사 거부로 비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앞서 윤 전 대통령 측은 건강상의 이유로 28일 오전 9시에서 10시로 한 시간 늦춰 출석해 줄 것을 요청했고, 특검은 이를 수용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첫 조사가 공개될 경우 향후 이어질 조사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소환 불응' 프레임이 씌워질 수 있다고 우려하며, 시작부터 기 싸움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윤 전 대통령 측은 박지영 특검보가 언급한 전직 대통령들의 공개 출석 사례에 대해 적극 반박했다. 이들은 해당 사례들이 검찰의 인권보호수사규칙이 제정되기 이전의 것들이며, 포토라인이 사실상 폐지된 현행 규칙에 따라 윤 전 대통령도 비공개 조사를 받을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도입한 '포토라인 폐지' 원칙을 윤 전 대통령에게도 적용해야 한다는 논리이며, 과거와는 달라진 수사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조은석 특검팀은 출입 방식 변경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박지영 특검보는 "일반 피의자와 달리 전직 대통령이라는 이유로 특별 대우를 하는 것 자체가 국민적 공감대를 얻기 어렵다"고 지적하며, 비공개 출석 요청이 "사실상 출석 조사를 거부하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고 강하게 경고했다. 국민적 관심이 집중된 사건인 만큼, 투명하고 공정한 수사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양측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윤 전 대통령의 특검 출석 방식은 계속해서 논란의 중심에 설 것으로 보이며, 향후 수사 진행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